본문 바로가기
키미의 일본생활/이런것도 있구나

일본 아파트는 목조 건물? 콘크리트 건물은 맨션! 한국과 다른 일본의 주거 구조 구분법

by 키미의 일본생활 2025. 4. 24.
반응형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아파트'라는 단어, 한국에서는 고층 주거 건물을 지칭하는 대표 용어지만,

일본에서는 그 의미가 조금 다르게 쓰입니다.

 

일본 생활을 시작하면서 가장 혼란스러웠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주거 용어'였다는 사람도 많아 정리했습니다.

반응형

 

용어의 시작부터 다르다 ? 일본식 주거 명칭의 기본

 

일본에서 아파트(アパート)라고 하면,

대부분 2층 이하의 목조(木造) 혹은 경량 철골 구조로 지어진 비교적 저렴한 임대용 주택을 의미합니다.

주로 학생이나 사회 초년생들이 많이 사는 곳으로, 방음이나 단열 성능이 낮은 편입니다.

일본의 아파트
일본의 아파트

 

반대로 맨션(マンション)철근 콘크리트(RC, SRC) 구조로 지어진 중·고층의 고급 주택을 말합니다.

보통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보안 시스템이나 택배함, 오토록 인터폰 등 공동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 많습니다.

 

한국의 '아파트'는 사실 일본식 분류로 보면 거의 대부분 '맨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일본 도시에서는 ‘타워 맨션(タワーマンション) 일본에서는 흔히 타와만’이라 불리는 초고층 콘크리트 주거 건물이 늘고 있으며, 이 경우는 한국의 대형 아파트 단지와 더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도 타워 맨션은 고급 주거 공간으로서,

탁 트인 전망과 호텔식 로비, 피트니스, 스카이라운지 등 고급 시설을 갖춘 곳이 많습니다.

 

 

구조 차이 – 목조냐 콘크리트냐

구분 일본의 아파트 일본의 맨션 일본의 타워맨션 한국의 아파트
구조 목조/경량철골 철근 콘크리트 고층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층수 보통 2층 이하 3층 이상 20층 이상 다양 (고층 포함)
방음 낮음 높음 매우 높음 높음
임대/분양 대부분 임대 임대 + 분양 다양 분양 중심  
특징 저렴한 임대 주거 고급화, 공동시설 우수 고급 주거, 호텔식 편의 커뮤니티 시설, 주차 등 풍부

 

 

 

 

+) 일본의 '주택(一戸建て) 잇코다테'

 

일본에서는 단독 주택을 '잇코다테(一戸建て)'라고 부르는데

맨션이나 아파트와는 달리 한 가족이 독립적으로 거주하는 주거 형태로, 마당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조는 목조가 많지만 최근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고급 주택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한 사례로, 2015년 일본 이바라키현 조소시(常総市)에서 발생한 홍수 당시,

기누가와(鬼怒川) 강의 제방이 붕괴되며 많은 집이 침수되었지만, 유일하게 남은 집 한 채가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해당 주택은 헤벨 하우스(ヘーベルハウス)에서 시공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18개의 보강 말뚝 위에 지어진 견고한 구조로 이후 헤벨 하우스의 내진성과 내구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일본 내 주택 선택 기준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누군가가 " 헤베루 하우스와 튼튼데스네 - " 라고 쓴 글이 기억나서 급 추가했습니다.

저희집은 나무집입니다🏡

 

 

 

Single “Hebel Haus” is the only structure to defy the flooding of Japan’s Angry Demon River

Last week, we discussed the possible etymology of Kinugawa ("Angry Demon River"), which has been the scene of intense flooding in eastern Japan this month. While the overflowing river has devastated the surrounding towns and landscapes in its wake, a sing

soranews24.com

 

 

728x90
반응형